자료마당

학부모신문

Home > 자료마당 > 학부모신문

교육자치 | 286호 조희연 1심 판결문, 꼼꼼히 읽어보면 무죄다

페이지 정보

본부사무처 작성일16-08-09 14:53 조회1,061회 댓글0건

본문


나는 중학교에서 아이들에게 사회를 가르치는교사다. 본의 아니게 곽노현, 조희연 서울의 두 진
보교육감이 모두 송사를 겪는 바람에 교과서 밖으로 나와 재판도 참관하고 판결문도 읽어봐야 하는
씁쓸한 경험을 하였다. 덕분에 사회교사로서 생생한 현장교육, 실물교육을 받게 된 걸 고마워해야 되
는지도 모르겠다.교육감의 중도 퇴진이라는 불행을 또 겪고 싶지
않다는 마음으로 조희연교육감의 1심 판결문을 보던 나는 그에게 당선무효형을 내린 판결문이 오히려
그의 무죄를 입증하는 근거가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래서 조희연교육감(이하 호칭 생략) 1심
판결문에서 드러난 무죄 근거를 살펴보고자 한다.1. 1심 재판부는 조희연이 하지 않은 발언을 근거로
유죄판결을 내렸다.조희연 1심 재판의 범죄사실 여부 심리의 핵심은
‘사실 vs 의견’을 가르고, 이때의 사실이 허위사실에 해당하는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조희연이 ‘고승
덕의 두 자녀는 물론 본인도 미국 영주권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승덕은 서울교육감 후보자격이 없
다’고 기자회견에서 밝혔다면 그건 명백한 허위사실을 유포한 것이다. 그러나 조희연이 실제 기자회
견에서 한 말은 ‘다수의 제보에 따르면, 고승덕의두 자녀는 물론 본인도 미국 영주권을 가지고 있다
는 의혹이 있으니 이에 대해 해명을 하라, 이 의혹이 사실이라면 고승덕은 서울교육감 후보자격이 없
다’였다. 전자에서는 고승덕과 두 자녀가 영주권을가지고 있다는 것이 사실이지만, 후자에서는 그런
의혹이 있다는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판결문 21쪽에서 ‘피고인이 공표한 허위사실은 교육감 후보자
인 고승덕이 미국영주권을 보유했는지 여부로서(…)’라고 명시한 것에서 보듯 1심 재판부는 의혹이
있다고 얘기한 조희연이 영주권이 있다고 얘기한것으로 해석했다. 그러나 영주권을 가졌다는 건 허
위 사실이지만, 그런 의혹이 있다는 건 최경영의 트윗과 2,000건이 넘는 리트윗으로까지 확대된 실제
상황을 그대로 얘기한 것이며 허위 사실이 아닌 명백한 사실이다. 이에 1심 재판부는 엄청난 혼란에
빠져 판결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조희연은 자기가하지도 않은 말로 허위사실을 유포한 범죄자가 되
었다.2. 1심 재판부는 선거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은 일에
당선무효형을 내렸다.판결문 21쪽에서 1심 재판부는 ‘피고인의 이 사건
범행이 고승덕의 지지율에 나쁜 영향을 준 것은 인정되나 이 사건 범행으로 인하여 고승덕이 낙선하
였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명시하고 있다. 선거법의입법 취지는 선거 과정의 행위로 인해 유권자의 민
의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거의 공정성을 확보함에 있다. 그런데 선거 과정의 어떤 행위로 인해
유권자의 민의가 왜곡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서도 그 행위를 이유로 유권자들에
의해 당선된 선출직의 직을 박탈하는 판결을 내리는 것은 잘못된 판결이며 선거법의 취지를 근본에
서부터 부정하는 행위다. 더구나 조희연의 의혹 해명 요구는 5월 25일 기자회견에서부터 5월 27일
고승덕의 여권사본 제시까지 단 3일 만에 영주권없음으로 의혹이 밝혀지면서 끝났다. 이러한 전개
과정은 후보에 대한 유권자의 판단이라는 점에서는 고승덕이 아니라 오히려 조희연에게 더 불리해
질 가능성이 큰 것이 더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3. 조희연이 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사실 확인은
고승덕에게 해명을 요구하는 것이었다.판결문 3쪽에서 ‘고승덕이 2003년 무렵 출간한
『포기하지 않으면 불가능은 없다』는 책에 ‘(…)고승덕이 영주권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쉽게
인할 수 있었음에도 이러한 내용을 확인하지 않은채(…) 기자회견문을 작성한 뒤 별다른 확인 절차
없이’, 13쪽에서 ‘구체적 사실이 진실한지를 확인하는 일이 시간적ㆍ물리적으로 사회통념상 가능하였
다고 인정되고’라고 명시하여 영주권 보유여부를확인하지 않은 것을 조희연의 범의로 규정하고 있
거나 최소한 중대한 오류로 해석하였다. 의혹을 해명해야 할 당사자가 쓴 책이 객관적 해명 자료가
될 수 없음은 상식적이다. 제3자 아닌 당사자는 비자가 찍힌 여권 제시만으로도 사실 여부를 금방 확
인해줄 수 있는 일이고 또 당시 실제로 그렇게 진행되었다. 그러니 공적기관도 아니고 당사자도 아닌
조희연으로서는 사실 확인을 할 가장 확실한 방법이 고승덕에게 해명을 요구하는 것일 수밖에 없다.
사정이 이러함에도 1심 재판부가 조희연에게 사실확인을 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은 명백한 오류다.
또한 본인에게 해명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다른방식이 ‘시간적ㆍ물리적으로 사회통념상 가능한’ 일
이 아니라 ‘재판부의 주관적 관점 상 가능한’ 일이 라고 인정될 뿐이다. 따라서 이런 잘못된 판단을
조희연의 범의의 근거로 보고 유죄 판결을 한 것 역시 재판부의 실수거나 오류라 하지 않을 수 없다.
4. 1심 재판부는 똑같은 행위를 한 최경영과 조희연의행위를 달리 보고 있다.
1심 판결문의 곳곳에는 최경영의 행위를 법적으로 범죄행위에 해당되지 않는 ‘단순의혹 제기’라고
밝히고 있다. 최경영의 트윗 발언과 조희연의 기자회견 발언을 비교해 보자. 최경영은 트윗에서 “서울
시교육감 후보로 나선 고승덕 후보는 자녀들을 어디서 교육시키셨나요? 한국에서 공부를 시키지 않
으셨다면 왜 그러신 건가요? 본인 역시 미국 영주권을 갖고 계시지요? 정말 한국의 교육을 걱정하고
계십니까? 걱정할 만큼 잘 알고 계십니까? 궁금합니다.” 라고 말했고, 1심 재판부는 이 발언을 ‘단순
의혹 제기에 불과한 위와 같은 최경영의 글’이라고규정하였다. “제보에 따르면, 고 후보는 두 자녀를
미국에서 공부시켜 미국 영주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 후보 자신 또한 미국에서 근무할 때 미국 영
주권을 보유하였다는 것입니다.(…) 고 후보는 그저 자신이 미국 영주권을 보유하고 있다는 의혹을 사고있습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고 후보는 서울시교육감 후보가 될 자격이 없습니다.” 이것이 조희연기자회견의 내용이다. 최경영은 궁금하니 답을 달라 요청하였고, 조희연은 의혹이 있으니 밝혀 달라요청하였다. 그렇다면 최경영의 행위가 단순의혹제기에 불과한 것이듯이, 조희연의 행위 역시 단순의혹제기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재판부는 최경영을 허위사실공표죄로 보지 않았듯이 조희연도허위사실공표죄로 보지 않아야 한다.
판결문 12쪽에서는 ‘두 자녀를 미국에서 공부시
켜’, ‘고 후보 자신 또한 미국에서 근무할 때’를 기자
회견문에 추가한 것이 대단한 악의를 가진 듯 지적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두 표현이 없는 사실을 덧붙
인 거라면 악의적 의도가 있다고 볼 근거가 되지만
객관적으로 명백한 사실이며 이것들이 추가되었다
고 해서 최경영의 트윗 내용과 질적으로 다른 얘기
로 바뀐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두 표현이 추가되
었다고 최경영과 조희연 행위를 질적으로 다른 것
으로 판단하는 근거로 삼는 것 또한 전혀 합리적이
지 않다.
5. 1심 재판부는 조희연의 객관적 소명자료 요구가
‘부당하다’는 판단을 조희연 유죄 판결 근거로 삼았다.
1심 판결문 18쪽에서 재판부는 ‘미국 영주권이
없다고 주장하는 고승덕에게 객관적 소명자료를 요
구하는 것이어서 부당하다’고 명시하였다. 의혹을
받는 이에게 객관적 소명자료를 요구하는 것이 부
당하다는 것이 정당한, 아니 정상적인 판단인가?
의혹을 받는 이에게 객관적인 소명자료를 요구하지
않으면 도대체 무엇을 요구한단 말인가?
이상에서 1심 판결문 안에서 사실상 스스로 밝
히고 있는 조희연의 무죄 근거들을 살펴보았다. 조
희연 사건은 현행법을 그대로 인정한다 해도 법 적
용과 해석상의 오류로 인해 잘못된 판결이 내려진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법 전문가가 아닌 일개 사회교사의 분석이라 오
류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것이 얼마만 한 것인
지는 이 글을 읽는 분들이 판단해 주시면 좋겠다.
* 이 글은 프레시안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이 기사가 실린 학부모신문을 확인하려면 위 링크를 클릭하세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